Grandpa's Cool House
Korean Babyboomer & Korean Architecture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Baby Boomers(born in 1953-1962) are the generations who have experienced the both extreme sides in their lifetime; from the postwar poverty hour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boom’s time in 70s~80s, from resisting the tyranny of the military government to opening the democratic government, from growing up in Korean Folk Culture and Confucian Values to Capitalist Era of mass culture in the sudden globalization flow. Korean Baby Boomers has lived in all the maelstroms of Korean Modern History, but did not seem to have their own Cultural Keywords or Colors which represents themselves unlike Generation X or Generation 486.
What is the Korean Architecture? The Korean traditional and folk architecture has been disappeared in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But it still remains as the spirit of the Korean Architecture. Also, with changed lifestyle, imported Western-Styled Architecture became the big flow in Korean built environment in a short time of the past half-century. Defining "What the Korean Architecture is." in the chaotic diversity seems impossible.
Korean Baby Boomers which called "Ggin Sedae" and Korean Architecture is similar to in this respect.
Architect's Proposal
The Client couple who is bone in 1961 and 1962 has worked as an insurance executive and Board of Education Superintendent. Like typical Baby Boomer Generation, they left countryside to the cities to get education and job opportunity in child hood. Overcoming the poverty of his childhood and looking straight ahead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he and she met the time to prepare retirement. Planning for life after their retirement is firstly leaving the city and building a new nest on countryside. The impression I got in first meeting with the Client was 'uneasiness' in expression of themselves. For them, social standards like graduated school, social position, social relationship are clear to express, but their own tastes, tendency, and style which are refined with experience and time are clumsy to show. Would it be common to the Baby Boomer Generation?
Designing the house, I confirmed that the spectrum of experience they have in their lifetime is extensively wider than any other generation have in the history of Korea. Conversely, the self-refining process for the experience seems to be missing in the busy life. Otherwise, generation after Baby Boomer had a variety of pop culture and leisure in economic freedom and could create their own culture which is representing their generation. Meanwhile, looking back at them retire maybe the spectrum of experience and organize their lives would not be the time to rule? Perhaps the rule will be indicative of the degree, not black and white debate.
As the architect, I suggested the key word 'penetration' and 'flexibility' for the house to the Baby Boomers Client. 'Penetration'; searching themselves with a journey of experience across multiple time, 'Flexibility'; enjoying a variety of recreation in a limited space. Through the keywords, for people who engage in that space can refine themselves.
Client wants to be remembered as a cool grandpa to his future grandchildren. He hopes that the memory in grandpa house is special for them. This hope can be come true in the time looking back their life and revealing their charm.
I hope that Grandpa's Cool House can help the client to solve the late lifetime homework.
베이비부머와 한국건축
한국현대사에서 베이비부머(1953~1962)세대들은 인생에 걸쳐 양극단의 상황을 경험한 세대 들이다. 전후의 빈곤의 시간에서 경제개발의 호황의 시기를, 군부의 독재정치에 저항해서 민주 정부를 열었고, 토속적 한국문화와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 자랐지만 어느새 세계화 흐름 속에 자본주의적 대중문화와 무가치관의 시대에 살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한국현대사의 소용돌이를 모두 관통해 존재하지만 486세대나 X세대와 달리 그들을 대표하는 문화적 키워드나 색깔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한국적 건축이란 무엇일까? 근대화와 산업화의 과정에서 전통적 혹은 토속적 한국건축은 대부분이 사라졌지만 한국건축의 원류로써 여전히 존재한다. 지난 반세기의 짧은 시간동안 새로이 도입된 서구의 건축 역시 한국의 변화된 라이프 스타일과 그 괘를 함께하며 한국의 건축에서 큰 흐름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렇게 혼돈에 가까운 양상으로 존재하는 현상황의 다양함 속에서 한국적 건축을 쉽게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낀 세대라 불리는 베이비부머 세대와 한국적 건축이라는 단어는 이런 면에서 많이도 닮아있다.
건축가의 제안
1961년생, 1962년생인 건축주 부부는 보험회사 임원 그리고 교육청 장학사로 근무하고 있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도시로 상경해 대학을 나와 가족을 꾸미고 도시에 정착한 전형적인 베이비 부머 세대이다. 어린 시절의 가난을 극복하며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앞만을 바라보며 살아온 그들에게 은퇴의 시기가 다가왔다. 자신들의 은퇴 후의 삶을 위한 계획 중 그 첫째가 치열하기만 했던 도시를 떠나 전원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것이다. 건축주와의 첫 대면에서 받은 인상은 자신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불편해 한다' 라는 것이었다. 자신들이 분류되는 출신학교, 직책, 인맥 등의 사회적 기준들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만 반대로 자신의 취향, 기호, 스타일과 같이 시간을 가지고 경험하고 다듬어져야할 것들의 표현은 서툴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것은 베이비부머 세대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아닐까?
주택의 디자인을 진행하면서 건축주 부부와의 시간을 통해 확인한 바는 그들의 삶에서 체험한 경험의 스펙트럼이 한국의 역사상 어느 세대보다 광범위하다는 것이다. 반대로 이렇게 엄청나게 축척한 경험에 대한 자기화의 과정은 바쁜 삶의 과정 속에서 누락된 것 처럼 보인다. 베이비부머 이후 세대들이 경제적 여유 속에서 다양한 대중문화와 여가를 접하며 그 세대만의 문화를 만들어 낸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그들에게 은퇴는 그 동안 축적된 경험의 스펙트럼을 되돌아 보고 자신들의 삶을 정리하고 규정하는 시간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아마도 그 규정은 흑과 백의 논의가 아니라 정도를 나타내는 것일 것이다.
건축가로서 베이비부머 건축주에게 제안하는 주택의 핵심은 '관통'과 '가변'이었다. 그동안 경험 한 여러 시간을 넘나들며 자신을 찾아가는 '관통', 다양한 여가를 한정된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가변'. 이 두개의 키워드를 통해 건축은 그 공간을 영위하는 사람에게 자기화의 시간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거듭 날수 있지 않을까 한다.
건축주는 앞으로 두 아들에게서 태어날 손주들에게 기억되는 할아버지, 할아버지집에서의 기억들이 특별하고 색달랐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바람은 자신을 돌아보며 삶의 여유 속에서 자신의 매력을 자연스럽게 드러낼 때 이루어 질 것이다.
멋진 할아버지집이 인생의 전반기에 미뤄논 삶의 숙제를 즐겁게 풀어나가는 장소가 되길 바란다.
Transportation and Travel give us experiences of other time and space. As a medium to connect different time and place, terminals, ports, airports are coming to us as specialty of new challenges and changes.
Grandpa's Cool House_Private Residence/Kimhae Korea
Project Director : Kichul Lee
Project Team : Kyoungsoon Park, Sanghoon Lee
Design Period : 2015.07~2016.02
Program : Private Residence
Location : 607~9 Yeocha-ri Sangdong-Meon Kimhae Building Area :164.02m2
Gross Floor Area : 209.5m2
Building Scope : B1, 1F
Ext Finishes : Bamboo, Concrete Block, Metal Sheet
Grandpa's Cool House
Korean Babyboomer & Korean Architecture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Baby Boomers(born in 1953-1962) are the generations who have experienced the both extreme sides in their lifetime; from the postwar poverty hour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boom’s time in 70s~80s, from resisting the tyranny of the military government to opening the democratic government, from growing up in Korean Folk Culture and Confucian Values to Capitalist Era of mass culture in the sudden globalization flow. Korean Baby Boomers has lived in all the maelstroms of Korean Modern History, but did not seem to have their own Cultural Keywords or Colors which represents themselves unlike Generation X or Generation 486.
What is the Korean Architecture? The Korean traditional and folk architecture has been disappeared in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But it still remains as the spirit of the Korean Architecture. Also, with changed lifestyle, imported Western-Styled Architecture became the big flow in Korean built environment in a short time of the past half-century. Defining "What the Korean Architecture is." in the chaotic diversity seems impossible.
Korean Baby Boomers which called "Ggin Sedae" and Korean Architecture is similar to in this respect.
Architect's Proposal
The Client couple who is bone in 1961 and 1962 has worked as an insurance executive and Board of Education Superintendent. Like typical Baby Boomer Generation, they left countryside to the cities to get education and job opportunity in child hood. Overcoming the poverty of his childhood and looking straight ahead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he and she met the time to prepare retirement. Planning for life after their retirement is firstly leaving the city and building a new nest on countryside. The impression I got in first meeting with the Client was 'uneasiness' in expression of themselves. For them, social standards like graduated school, social position, social relationship are clear to express, but their own tastes, tendency, and style which are refined with experience and time are clumsy to show. Would it be common to the Baby Boomer Generation?
Designing the house, I confirmed that the spectrum of experience they have in their lifetime is extensively wider than any other generation have in the history of Korea. Conversely, the self-refining process for the experience seems to be missing in the busy life. Otherwise, generation after Baby Boomer had a variety of pop culture and leisure in economic freedom and could create their own culture which is representing their generation. Meanwhile, looking back at them retire maybe the spectrum of experience and organize their lives would not be the time to rule? Perhaps the rule will be indicative of the degree, not black and white debate.
As the architect, I suggested the key word 'penetration' and 'flexibility' for the house to the Baby Boomers Client. 'Penetration'; searching themselves with a journey of experience across multiple time, 'Flexibility'; enjoying a variety of recreation in a limited space. Through the keywords, for people who engage in that space can refine themselves.
Client wants to be remembered as a cool grandpa to his future grandchildren. He hopes that the memory in grandpa house is special for them. This hope can be come true in the time looking back their life and revealing their charm.
I hope that Grandpa's Cool House can help the client to solve the late lifetime homework.
베이비부머와 한국건축
한국현대사에서 베이비부머(1953~1962)세대들은 인생에 걸쳐 양극단의 상황을 경험한 세대 들이다. 전후의 빈곤의 시간에서 경제개발의 호황의 시기를, 군부의 독재정치에 저항해서 민주 정부를 열었고, 토속적 한국문화와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 자랐지만 어느새 세계화 흐름 속에 자본주의적 대중문화와 무가치관의 시대에 살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한국현대사의 소용돌이를 모두 관통해 존재하지만 486세대나 X세대와 달리 그들을 대표하는 문화적 키워드나 색깔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처럼 보인다.
한국적 건축이란 무엇일까? 근대화와 산업화의 과정에서 전통적 혹은 토속적 한국건축은 대부분이 사라졌지만 한국건축의 원류로써 여전히 존재한다. 지난 반세기의 짧은 시간동안 새로이 도입된 서구의 건축 역시 한국의 변화된 라이프 스타일과 그 괘를 함께하며 한국의 건축에서 큰 흐름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렇게 혼돈에 가까운 양상으로 존재하는 현상황의 다양함 속에서 한국적 건축을 쉽게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낀 세대라 불리는 베이비부머 세대와 한국적 건축이라는 단어는 이런 면에서 많이도 닮아있다.
건축가의 제안
1961년생, 1962년생인 건축주 부부는 보험회사 임원 그리고 교육청 장학사로 근무하고 있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도시로 상경해 대학을 나와 가족을 꾸미고 도시에 정착한 전형적인 베이비 부머 세대이다. 어린 시절의 가난을 극복하며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앞만을 바라보며 살아온 그들에게 은퇴의 시기가 다가왔다. 자신들의 은퇴 후의 삶을 위한 계획 중 그 첫째가 치열하기만 했던 도시를 떠나 전원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것이다. 건축주와의 첫 대면에서 받은 인상은 자신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불편해 한다' 라는 것이었다. 자신들이 분류되는 출신학교, 직책, 인맥 등의 사회적 기준들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만 반대로 자신의 취향, 기호, 스타일과 같이 시간을 가지고 경험하고 다듬어져야할 것들의 표현은 서툴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것은 베이비부머 세대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아닐까?
주택의 디자인을 진행하면서 건축주 부부와의 시간을 통해 확인한 바는 그들의 삶에서 체험한 경험의 스펙트럼이 한국의 역사상 어느 세대보다 광범위하다는 것이다. 반대로 이렇게 엄청나게 축척한 경험에 대한 자기화의 과정은 바쁜 삶의 과정 속에서 누락된 것 처럼 보인다. 베이비부머 이후 세대들이 경제적 여유 속에서 다양한 대중문화와 여가를 접하며 그 세대만의 문화를 만들어 낸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그들에게 은퇴는 그 동안 축적된 경험의 스펙트럼을 되돌아 보고 자신들의 삶을 정리하고 규정하는 시간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아마도 그 규정은 흑과 백의 논의가 아니라 정도를 나타내는 것일 것이다.
건축가로서 베이비부머 건축주에게 제안하는 주택의 핵심은 '관통'과 '가변'이었다. 그동안 경험 한 여러 시간을 넘나들며 자신을 찾아가는 '관통', 다양한 여가를 한정된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가변'. 이 두개의 키워드를 통해 건축은 그 공간을 영위하는 사람에게 자기화의 시간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거듭 날수 있지 않을까 한다.
건축주는 앞으로 두 아들에게서 태어날 손주들에게 기억되는 할아버지, 할아버지집에서의 기억들이 특별하고 색달랐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바람은 자신을 돌아보며 삶의 여유 속에서 자신의 매력을 자연스럽게 드러낼 때 이루어 질 것이다.
멋진 할아버지집이 인생의 전반기에 미뤄논 삶의 숙제를 즐겁게 풀어나가는 장소가 되길 바란다.
Transportation and Travel give us experiences of other time and space. As a medium to connect different time and place, terminals, ports, airports are coming to us as specialty of new challenges and changes.
Grandpa's Cool House_Private Residence/Kimhae Korea
Project Director : Kichul Lee
Project Team : Kyoungsoon Park, Sanghoon Lee
Design Period : 2015.07~2016.02
Program : Private Residence
Location : 607~9 Yeocha-ri Sangdong-Meon Kimhae Building Area :164.02m2
Gross Floor Area : 209.5m2
Building Scope : B1, 1F
Ext Finishes : Bamboo, Concrete Block, Metal Sheet
Triangle Rectangle House
Perfect Aperture
In the dynamic landscape of urban living, the desire for a personal sanctuary away from the bustling city life is ever-present. The Triangle Rectangle House exemplifies this need, serving as a refuge for its owner, a surgeon seeking respite from the demands of their profession. The design reflects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private retreat and social engagement, a core consideration for any architect aiming to harmonize personal life with surrounding interactions. To achieve this balance, we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Perfect Aperture." This approach allows for selective intervention with the outside world while preserving the integrity of private spaces. By strategically organizing spatial layers and structural walls around a central courtyard, we established a stable and secluded environment. The circulation spaces connect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were expanded, and the mass was segmented into individual room sizes. This segmentation facilitated the creation of various apertures and windows, ensuring indirect visual connections with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privacy. These apertures, including skylights, act as conduits for light and glimpses of the landscape. They meticulously control the influx of direct and indirect light, producing a delicate and dramatic play of illumination throughout the day. This interaction with light invites residents to engage with nature, fostering moments of genuine relaxation and introspection. The use of exposed concrete as an interior finish further enhances this concept. It symbolizes a robust outer shell while serving as a neutral canvas that interacts beautifully with daylight. The careful orchestration of light and space in the Triangle Rectangle House not only ensures privacy but also provides a serene and contemplative living environment, embodying the essence of architectural harmony.
완전한 틈
혼재된 도시의 삶 속에서 도시민들은 세상과 차단된 개인적 공간을 원한다. 세모네모집의 주인 역시 외과의로서 고단함을 달랠 안식처를 원했다. 번잡함의 일상에서 벗어나 개인의 사유와 관조의 시간을 보장할 내밀한 공간의 구축이 최우선 과제였다. 사적 영역의 단단함과 주변의 개입 정도를 정의하는 것이 그 주택의 사회적 태도를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그간의 단독주택들은 지나치게 폐쇄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이런 시대적인 경향 속에서 건축가로서 개인의 삶과 주변의 관여 사이의 이상적인 균형을 만드는 것은 지속적인 관심사이자 숙제이다. 세모네모집의 경우 그 숙제의 해법으로 내밀함을 위한 껍질은 단단하게 유지하면서도 개입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방식인 “완전한 틈”을 제안한다.
중정을 중심으로 내 외부를 분리할 여러 겹의 공간과 구조체의 껍질을 배열함으로써 사적인 안정감이 보장되는 내향적인 공간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내외부를 연계하는 동선 공간을 확장해 과장된 오프닝을 설정하고, 실별로 메스를 분절하고 그사이에 다양한 방식의 틈을 만들고 창을 배치했다. 이틈들은 세밀하게 조작되어 외부와의 간접적 시각적 연계를 이어주지만, 프라이버시를 유지한다. 정면에서는 창이 보이지 않지만, 각도를 달리하면 창의 존재가 확인되고 내부의 천정이 간접적으로 보인다거나, 틈의 공간에 조경을 두어 시각적 필터 역할을 하게 하거나, 틈이 있는 켜 들을 겹쳐 의도된 위치에서만 시각적 연계가 이루어지게 하는 식이다.
천창을 포함한 틈들은 동시에 빛과 풍경의 다양한 유입경로가 된다. 동남서 방향으로 직접광과 간접광의 구분을 두어 시간에 따른 빛의 변화를 섬세하고 드라마틱하게 연출했다. 천창들은 위치와 그 공간의 용도에 따라 작동방식이 다르다. 거실의 천창은 2층 높이의 노출콘크리트 벽면을 비추어 해시계처럼 시간의 존재를 각인시킨다. 계단의 천창은 콘크리트 루버로 빛과 그림자가 조절되어 계단의 상승감과 함께 움직임의 리듬감을 강화한다. 드레스룸과 욕실을 관통하는 천창은 빛이 천창과 벽체를 한번에 통과하는 일정 시간에는 빛이 광선처럼 공간을 비추게 연출한다. 이를 위해 실내의 자연광이 일정한 조도 이하로 유지되게 벽면의 창을 조절하고 천창과 벽체의 위치, 각도, 높이 등을 여러 차례 바꾸어 가며 디자인했다.
세모네모집의 빛의 변화와 주변 풍경은 거주자에게 자연의 변화를 직면하게 함으로써 관조와 사유의 시간과 함께 진정한 의미의 휴식을 경험하게 한다. 내부마감인 노출콘크리트는 단단한 껍질을 상징하며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시점에서 풍경과 대비를 이루고 빛이 그려내는 그림의 담백한 캔버스가 된다.
Project Director : Kichul Lee
Project Team : Namu So
Design Period : 2017.03~2017.08
Program : Private Residence
Location : Yangsan, Rep.of Korea
Building Area :143.96㎡
Gross Floor Area : 208.29㎡
Building Scope : 2F
Exterior Finishing : Basalt Brick, 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