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he Floating Time

Busan Citizen Park

 

Busan Citizen Park has the transition period from Japanese military camp and US military camp to Citizen Park with a curved modern time history.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it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another country. Except for a few days in the event period a year, it was where access is prohibited for residents. Recently returning to citizen as <Citizen Park> after US troop withdrawal, it is preparing another new look.

Preserving a portion of an old tree among sycamore species at the time of U.S. military base, most of the landscape plan is new vegetation. For the recovery the old topography,  landfill construction is in progress. Most buildings were demolished, except for the few for the p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Busan Citizen Park is transformed into a space for citizens, wiping out unwanted traces of the past. Because the unconnected top layer, this historic place seems to be not relevant the continuity of time.

 

Direction of the Plan

 

Our direction for recycling or reproduction of existing buildings is to find a sustainable identity in a one-off and rapid social change. The history of this land was a series of "cut off time" and "intermittent chang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ing an existing building, the property’s place became as a major element of the plan. Connecting the past and the future and Transforming into place that holds a variety of actions of citizen, the Recycling Plan will be necessary building as important part of the Civic Park.

The building is buried in the embankment of the park. the Plan that includes sunken gardens around the front and rear of the site connects the layers of two different times. The low height’s Lobby where seems to condense time and the Big Space where accommodates a variety of programs make the big contrast. There are group of growing plants of ferns as a symbol of the ancient time. This will be an ecology classroom. T in order to have continuity with the surrounding ground, the roof is completed like surrounding level.

 

부산시민공원 

 

‘부산시민공원’은 굴곡진 근현대사와 함께 일본군 전진기지에서 미 군사시설인 하야리야부대의 시기를 거쳐 부산시민공원으로 이어지는 변천의 역사 를 갖고 있다. 일제 강점기 이후에 반세기가 넘도록 타국의 관할 하에 있었고 주민에게는 일 년에 며칠간의 행사기 간을 제외하고는 출입이 금지된 곳이었다. 미군철수 이후 최근에 <시민공원>으로 되돌아오면 서 이곳은 또 다른 새로운 모습을 준비 중이다. 

군부대로 사용되던 시기에 조성되었던 조경 중 플라타너스 수종의 고목 일부만이 보전되면서 대지의 대부분이 새로운 식생으로 계획되고 있다. 옛 땅의 회복 선상에서 예전에 절토되었던 곳은 성토 공사가 진행 중이고, 건물들은 보존·재활 용을 위한 몇몇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철거되었다. ‘부산시민공원’은 불필요한 과거의 흔적들을 지워 버리고 새롭게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을 준 비하고 있다. 이러한 단절된 역사의 층위로 인하여 이곳은 시간의 연속성 또는 지속성과는 관련이 없어 보인다. 

 

계획의 방향

 

기존 건물의 재활용 또는 재생산을 위한 우리의 방향은 일회적이고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지속 가능한 정체성을 찾는 것이다. 이 땅의 역사는 ‘단절된 시간’과 ‘단속적 변화’의 연속 이었다. 기존 건물을 사용한다는 취지에 따라 이러한 대지가 지닌 장소적 특성을 계획안의 주요요소로 도입하였다. 과거와 미래를 이어주며, 다양한 행위 를 담는 곳으로 변모하여 방문객들에게 필요한 건축물로 남아 <시민공원>에 스며들기를 기대한다. 

주변의 성토로 공원 속에 묻히게 된 건물은 전면과 후면에 선큰을 조성하여 서로 다른 두개의 시간의 층위를 연결한다. 시간이 응축된 듯 한 낮은 층고의 로비 옆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게 될 대공간이 대비를 이루며 접해있다. 후원에는 시간을 거슬러서 태고적 식물인 양치식물군이 자라고 있다. 이곳은 생태교육장으로 활용된다. 지붕은 주변 대지 와 연속성을 갖기 위해서 주변 레벨과 동일하게 조성하였다. 

 

Floating Time_History&Culture Center/Korea
Competition_2nd Prize

Project Director : Architect-K + Odds & Ends
Project Team : Kichul Lee, Jongyeul Yun, Hejin Choi

Design Period : 2012.09~2015.10

Building Type : History Culture Center

Location : Busan, Rep.of Korea

Site Area : 533,828m² 

Site Covering Area : 1,308.20m²

Total Floor Area: 2,447.40m²Building Scope : B1,1F

Structure : RC

bottom of page